[인사실무]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- 2023년부터 진행해본 실무자 입장에서
[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]
2023년부터 시행된 인건비지원 정부지원사업입니다.
제가 다니는 회사는 퇴사자도 많고 입사자도 많은 곳입니다. (현장직군이 대부분)
근로자는 대부분 2-30대로, 이런 경우 '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' 제도는 인건비 지원받기 정말 좋은 제도입니다.
채용인원이 별로 없는 회사에서는 1-2명 지원받아서는 체감상 별로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,
작년 우리회사는 1억 이상 수혜를 볼 수 있었습니다.
[지원대상기업]
1.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5인 이상 중소기업
2. 기준 피보험자수 * 연 매출액 1,800만원 이상의 기업
*기본적으로 정부지원사업은 인위적감원이 없어야 하는것은 알고 계시죠?
지원대상 조건이 까다롭지않아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이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이됩니다.
이전에 했던 디지털일자리사업같은 경우에는 채용 인원 조건이 까다로웠는데,
(물론 지원금 받기는 더 쉬웠지만- 근속유지기간에 대한 조건이 러프했죠)
여기서 말하는 [취업애로청년]이란,
1. 연속하여 4개월 이상 실업 상태인 청년 (15세~ 34세)
2. 고졸이하 학력인 청년
3. 고용촉진장려근 지급 대상 청년
4.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하고 최초로 취업한 청년
5. 청년도전지원사업 수료 청년
6. 자립지원 필요청년
7. 대량 고용변동 신고 사업장에서 이직 후 최초로 취업한 청년
8. 북한 이탈 청년
9. 자영업 폐업 이후 , 최초로 취업한 청년
10. 최종학교 졸업이후 채용일까지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12개월 미만인 청년
*졸업 예정자 : 참여불가
근로자도 참여의 폭이 정말 많죠?
저희는 대부분 2번 고졸이하 학력인 청년으로 채용하여 지원금 수혜를 받았습니다.
이전에 디지털 일자리 사업과 지원금 규모는 거의 비슷한데, 장단점이 있다면!!
[디지털 일자리 사업과의 장/단점]
- 장점 : 워크넷 페이지에서 지원금 신청 버튼누르고, 급여명세서 보내면 바로 입금되는..
지원금 신청이 매우 편하다!! (디지털 일자리 사업은 업무일지 쓰고 ㅜㅜ 난리를 쳐야 했음)
- 단점 : 고용 후 6개월 이상 근속 후 지원금 신청 가능
이 단점이 꽤 치명적인데, 요즘은 워낙 빠르게 퇴사하는 인원이 많아서
10명 신청하면 3-4명 지원금 받을까 말까 합니다. ㅠㅠ
그래서 저는 아예 6개월 이상 근속한 근로자만 신고를 하는데요,
협약을 해두고 근로자 채용 신고는 좀 늦게해도 되기때문에 그게 오히려 낫더라구요!
[지원금 규모]
= 60만원 *12개월인데, 재직이후 6개월 뒤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
6개월이후 6개월치몰아서 신청해야합니다.
60*12개월 = 720만원 + 480만원 (2년근속 시 지급)
최대 1,200만원!!
근데 요즘 2년 근속자도 찾기 어려워서 최대치 금액을 다 받는 회사들이 과연 많을까싶지만, 어쨌든 회사에서 근로자 장기 근속을 위해 노력하라는 지원금 사업인듯 합니다.
회사 입장에서는 지원금 신청하기 편해져서 넘나 넘나 좋습니다!
고용24시에서 손쉽게 신규 신청 가능하니,
채용이 많은 회사의 인사담당자라면 꼭 신청해서 실적 만드십시오!
신규사업 신청 https://www.work24.go.kr/wk/k/a/1430/operOrgList.do
고용24(시범운영)_개인
고용24란? 모든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한 곳에서 신청하고,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포털입니다. 개인은 일자리 검색, 구직신청(이력서 등록), 실업급여 신청, 출산휴가급여 신청, 국민내일배
www.work24.go.kr